assist


과정구성

home 한국교육경영 석박사과정 한국교육경영 박사과정(Ph.D.) 과정구성
  • 대학정보공시
  • blog
  • facebook
  • youtube
  • iinkedin
  • 뉴스레터
  • print
비주얼 사진

한국교육경영 박사과정(Ph.D.)

교육 경영, 학교·교육 기관 경영과 AI와 빅데이터, 경영 전략 지식을 접목한 국내 최초의 한국교육경영 전문 과정

과정구성
과정구성
개강시기 :
3월, 9월
교육기간 :
2년
이수 학점 :
36학점 (비경영학 석사학위 입학생 48학점 이상)
교육 시간 :
주중 오전, 오후

학점구성 표
과정 연한 이수학점 학위취득요건 수여
박사 2년 36학점 이상
(비경영학 석사학위 입학생 48학점 이상)
  • 학점이수
  • 저널논문 발표
  • 학위논문 심사통과
  • 경영학 박사
    (세부전공 : 한국교육경영)
학점구성
학점구성 표
구분 이수학점
경영학 필수과목 및 연구방법론 12학점 이상 총 취득학점 최소 36학점 이상
한국교육전공과목 20학점 이상
연구학점 4학점 이상
* 단, 경영학 비전공자의 경우 선수과목 12학점 추가 이수 필수 (총 48학점 이상 이수)
* 학점구성 및 과목은 변경될 수 있음
과목소개
과목개요
구분 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시수 과목설명
선수과목 S2331 경영학개론 2 30 경영학 입문 교육에 필요한 핵심 개념과 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경제와 사회에서 경영의 역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암호화폐, 공유 경제, 교통 및 제조 기술과 같은 비즈니스 세계의 최신 동향과 기술들도 함께 살펴본다.
S2342 인적자원개발HRD 2 30 인적자원을 종합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이론적 바탕을 학습하며 이를 토대로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표를 둔다.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과 최근 국내외의HRD 프로그램 동향, 국내외 HRD 프로그램 실천 적용 사례 등을 살펴본다.
S0633 관리회계 2 30 원가/관리회계 정보를 이해, 생성, 분석하는 법을 살펴보고, 원가/관리회계 정보를 전략적으로 의사결정, 기획개발, 경영성과측정/평가 등에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해 본다.
S2261 AI 전략경영 2 30 전반경영자(CEO)의 과제인 경영전략(메커니즘구축전략(MBS)+행동선도전략(ALS))과 AI와 경영전략(경영자가 알아야 하는 AI + AI전문가가 알아야 하는 경영전략)을 접목해 본다.
S2262 디지털마케팅 2 30 디지털시대 기업 마케팅 이슈가 무엇이고,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마케팅 전략이 활용되어야 하는지 실제 사례를통해 배워본다.
S2260 4차 산업 혁명의
이해
2 30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IoT), 빅데이터, 로봇공학 및 자동화, 가상현실 (VR) 및 증강현실 (AR), 블록체인 등의 주요한 기술 동향과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VR과 AR 기술은 현실 세계와 가상의 세계를 융합시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활용되는데 게임, 교육, 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상호 연관되며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기존의 산업과 사회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인해 새로운 직업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며, 교육과 전문 기술 개발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4차산업의 중요 기술들에 대한 명확한 이래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S2259 기초 통계학의
이해
2 30 다양한 통계기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문제의 효율적 해결을 위해 필요한 통계학적 개념 및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S1554 창조성연구세미나 2 30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 기반의 전략 경영의 새로운 변화와 접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오늘날 경영자들에게 새로운 환경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창조적 아이디어와 전략창출은 그 어느때 보다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전략적 사고의 향상과 실제 적용 실습을 위해 4FACTS 모델을 기반한 워크숍 수업으로 제공된다. 또한 창조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창조성 관련 연구 활용 접근법을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경영학 필수과목 및
연구방법론
S1668 통계학의 이해 2 30 다양한 통계기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문제의 효율적 해결을 위해 필요한 통계학적 개념 및 원리에 대해 살펴본다.
S0705 사례연구방법론 2 30 경영학 연구방법에 대한 합리적인 실무지식을 전제로 하며, 대학원 수준의 연구과정, 다양한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의 장단점, 체계적이고 질 높은 연구설계, 윤리적인 문제, 이론, 연구문제 및 패러다임의 연계를 제공한다.
S2342 창조성 연구세미나 2 30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 기반의 전략 경영의 새로운 변화와 접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오늘날 경영자들에게 새로운 환경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창조적 아이디어와 전략창출은 그 어느때 보다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전략적 사고의 향상과 실제 적용 실습을 위해 4FACTS 모델을 기반한 워크숍 수업으로 제공된다. 또한 창조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창조성 관련 연구 활용 접근법을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S2338 텍스트 마이닝 2 30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연구분야에서도 다양한 데이터 기반 연구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과목은 텍스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주제를 추출하는 방법(LDA)과 주제를 시각화하는 방법(Social Network Analysis)을 다룬다.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실습은 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S1087 연구조사방법론 2 30 연구조사방법론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연구조사 및 분석에 필요한 기본통계 이론을 다룬다. 또한 연구조사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방법들을 상세히 살펴본다. 연구조사방법론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과 분석방법에 대한 단계적 학습을 제공한다.
S1996 심리학과 AI 연구세미나 2 30 교육 측정 평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인 컴퓨터 맞춤형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단계적 적응형 검사(multistage adaptive testing), 자동 검사 생성(automated test assembly), 자동문항생성(automatic item generation),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자동 채점(automatic scoring)등에 대해서 이해하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알고리즘을 작성해본다.
한국교육
전공과목
S2264 한국어학개론 2 30 한국어 교육의 기본이 되는 한국어학에 대해 배우고 탐구한다. 한국어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음으로써 한국어 연구자의 기본 소양을 갖추고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S2332 대조언어학 2 30 대조언어학적 연구 결과를 외국어교육에 적용한다는 것은 교사가 학습자의 모국어가 갖는 언어적 특성을 이해한 후 학습자에게 목표 언어를 가르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언어 교수는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강의에서는 대조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이의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본다.
S2263 한국어교육개론 2 30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기본 원리와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S2268 한국어교육과정론 2 30 교육과정과 교수 요목의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며 한국어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교수 요목의 설계 방안을 파악해본다.
S2334 한국어평가론 2 30 언어평가의 원리 및 기능을 파악하고 올바른 한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 원리 개발을 모색한다.
S2333 한국어표현교육론 2 3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쓰기 교육 이론 및 실제를 이해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본다.
S2335 한국어이해교육론 2 30 한국어 이해 영역의 원리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듣기와 읽기 수업 방안을 모색해 본다.
S2266 현대한국사회 2 30 현대 한국 사회에 과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를 통해 한국사회의 변화와 제반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 한국사회와 한국인에 대한 객관적 탐색과 과학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S2336 한국어교육실습 3 45 교실 수업의 원리 및 기능을 이해하고 국내외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실제 교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S2383 한국어교재론 2 30 교재와 관련된 기본 사실을 이해하고, 다양한 한국어 교재들을 분석하고 평가할 뿐만 아니라 더 나은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S2385 한국어발음교육론 2 3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발음 교육법에 대해 살펴본다. 한국어의 음운체계와 다양한 학설들을 비교 연구하여, 외국인들의 한국어 학습에 효과적인 방법을 구성해 본다.
- 한국어문법론 2 30 한국어 문법의 전반(형태론, 통사론)을 다루되, 매 단원을 이론과 학습 과제로 2원화하여 구성하였다. 이론 부분은 한국어 문법의 기초적인 체계를 현행 학교문법을 중심으로 기술하면서 주요한 논점들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 과제 부분은 확인 단계와 심화 단계로 구분하여 문제를 풀어 가는 과정을 구성하였다.
- 한국어문법교육론 2 30 외국어의 학습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사람과 소통하고 다양한 생각들을 접하게 되는 일은 한 언어에만 갇힐 수 있는 사고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며, 언어를 통해 사고의 다양성을 얻게 되는 일이다. 따라서 언어를 배우는 것은 단순히 단어의 수나 문법 항목의 수를 확장하는 일은 아니며,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는 일일 것이다. 이런 면에서 문법의 교수는 의사소통 기능과 분리해서는 안 되며, 언어 사용의 구체적인 상황 맥락과 연계되어 교수되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법은 실제 언어의 사용에서 정확성뿐만 아니라 상황별 사용 적절성을 갖출 수 있는 문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 언어교수이론 2 30 다양한 언어 교수법들의 일목요연하게 설명한다. 문법-번역 교수법과 같은 전통적인 접근에서 출발하여 최근 지배적 방식으로 떠오른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내용중심 교수법, 과업중심 교수법, 참여중심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은 물론, 직접 교수법, 무언 교수법, 비암시 교수법, 전신 반응법, 다중지능 학습,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등과 같은 실험적인 방법들에 이르기까지, 실제 교실 상황에서 이 교수법들이 적용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 한국어교육정책 2 30 다문화사회에서 올바른 사회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는 언어이다. 언어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이 세계 공동체의 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지식과 기술, 가치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도구인 한국어교육 정책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제언에 있다. 사회통합은 다양한 문화가 타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지식 및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올바른 언어교육에 대한 정책이 일관되게 수립되고 강화되어야 하며, 그 지향점이 분명해야 할 것이다.
- 외국어습득론 2 30 언어교육 이론, 언어 습득과 그 과정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서의 개인차를 다루는 것으로 교수 이론과 사회언어학적, 심리언어학적 접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사회문화적 요소와 언어습득의 연관성을 다루어 문화교육의 내용을 논의함으로써 언어와 사회문화적인 요소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려고 했다. 또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양상과 다양한 교수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한국문학의 이해 2 30 가능한 한 넓은 범위의 우리문학의 전체적 윤관을 볼 수 있도록 꾸몄다. 과거의 사실과 현재적 의미를, 옛 시대의 문학과 오늘날의 문학을, 밝혀진 것과 밝혀져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왜 한국문학을 이야기하는가, 한국문학의 영역, 한국문학의 갈래, 서정적 갈래, 서사적 갈래 등 문학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 한국어어휘교육론 2 30 한국어 어휘 체계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면서 실제적인 한국어 어휘 제시 방법과 다양한 어휘 교육 방법을 학습한다.
연구학점 S2337 논문지도 2 30 학생들에게 이론적 지식과 실용적인 능력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그들의 졸업반에 논문 쓰기를 더 잘 준비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사고방식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문 작성 순서에 따라 주제 선정, 자료 수집, 서론, 헤드라인, 추상, 키워드, 결론 등이 포함된 논문 구조 설계, 논문 작성 과정 및 기준 등을 다루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