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보안 석사

블록체인•보안 석사
지능화 되고 있는 각종 사이버 보안 위험으로부터 자산을 지키고, 경영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보안 석사 과정
과정개요
과정소개
최근 기업은 생존을 위해 새로운 혁신이 요구되는 시대가 다가왔으며, 이에 산업과 IT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의 혁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경영에 있어 ESG 경영이 중요 화두로 부각 되면서, 사회 전반적 분야의 정보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방안은 기업의 평판에도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촉발된 사회변화는 디지털 대전환의 기폭제로 작용했으며, 급격한 변화로 순기능만큼이나 커진 역기능 문제를 발생하였고, ICT 유망 기술은 미래사회 변화의 핵심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보안 위협의 대상이 되는 위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산업 설비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Cyber-Attack)이나 보안취약점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 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무 불이행과 그에 따른 형사처벌이 더 이상의 민간 자율 규제가 아닌 꼭 지켜야 할 법적 규제로 명시되었습니다.
실제로 네트워크 보안 업체를 비롯하여 IT분야의 주요 보안 기업들이 연쇄적으로 공급망 해킹기법을 이용해 1만 8천 개의 고객사 대상 해킹 피해가 발생하였고, 매출 50조에 달하는 국내 대기업의 ‘내부망 접근 권한’을 DarkWeb 에 경매로 판매하는 일도 나타났습니다. 또한, 美 송유관업체가 해킹 당일 해커들에게 약56억을 지불한 것으로, 보안업계 등에서는 “대형 인프라 시설을 목표로 한 추가 사이버 공격을 불러올 수 있는 ‘잘못된 선례’”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점점 지능화되고 복잡해지는 위험으로부터, “경영보안”을 강화하고자, 이번 aSSIST 융합보안 MBA는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와 공조로, 각종 (사이버)보안 위험으로부터, 중요한 기업 자산을 지키기 위해 활동하는 융합보안 / 개인정보 보호 임원, 관리자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방안의 마련 및 융합보안 시행 방안을 추진하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과정특징
-
법 제도(규제)에 대한 이해 및 대처 방안
- 기업에서 꼭 필요로 하는 법적,사회적,윤리적 책임에 대한 교육 및 인식 제공을 통한 기업의 안전성,신뢰성 확립
- ESG 경영 관련 정보보안, 개인정보 보호 예방 및 대응 방안
-
(사이버) 보안 위험 관리 방안
-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AI, Metaverse, NFT, 블록체인등) 및 사이버 위협에 대한 이해와 침해사고 대비 체계적인 대응 체계 수립
-
엔지니어 입장에서 숙지해야 할 경영보안 철학 및 경영역량
- 기술집약적 (IT 전문가, 보안 관리자) 특성에서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상(관리자,임원, 경영진)으로서 꼭 숙지하여야 할 경영역량 고취